국민연금은 노후 생활의 중요한 재원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연금 수령 시점이 다가오면 고민이 생깁니다. 더 많은 연금을 받으려면 추가 납부를 해야 할까, 아니면 연기해서 수령액을 늘릴까? 각각의 방식이 가지는 장점과 단점을 분석해 보고, 개인 상황에 따라 어떤 선택이 유리할지 살펴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추가 납부란?
🔹 추가 납부(추납)란?
추가 납부란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은 기간이 있는 경우 이를 보충하여 납부하는 제도입니다. 소득이 없어서 연금을 내지 못했던 시기(납부 예외 기간)나 경제적 이유로 미납했던 기간에 대해 최대 10년까지 추가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추가 납부의 장점
✅ 연금 수령액 증가: 추가 납부한 기간만큼 가입 기간이 늘어나므로 연금 수령액이 증가합니다.
✅ 소득공제 혜택: 추가 납부한 금액은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입 기간 충족 가능: 최소 10년 가입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추가 납부로 요건을 충족하면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추가 납부의 단점
❌ 추가 비용 부담: 한꺼번에 큰 금액을 납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납부한 금액 대비 수익률 계산 필요: 연금 수령액 증가분이 납부한 금액보다 효율적인지 따져봐야 합니다.
📌 실제 사례: 국민연금 추가 납부 시 이득
- A씨 (55세, 과거 납부 예외 기간 5년)
- 현재까지 국민연금 가입 기간: 15년
- 평균 월소득: 250만 원
- 예상 국민연금 수령액(60세 기준): 약 50만 원/월
추가 납부 시
- 납부 예외 기간 5년 치 추가 납부 (월 225,000원 × 60개월 = 총 1,350만 원)
- 가입 기간 증가 → 20년
- 예상 국민연금 수령액 증가 → 약 67만 원/월
- 추가 납부 후 10년간 더 받는 연금액: 2040만 원 (17만 원 × 12개월 × 10년)
➡️ 총 납부액(1,350만 원) 대비 약 1.5배 이득
2. 국민연금 연기 수령이란?
🔹 연기 수령이란?
국민연금은 만 60세(출생 연도별로 61~65세)부터 수령할 수 있지만, 이를 연기하여 늦게 받는 방식입니다. 최대 5년(65~70세)까지 연기 가능하며, 연기할 경우 매년 7.2%씩 연금액이 증가합니다.
🔹 연기 수령의 장점
✅ 연금액 증가: 5년 연기 시 연금액이 최대 36% 증가합니다.
✅ 오래 살 경우 유리: 장수할 경우 높은 연금액을 오랫동안 받을 수 있습니다.
✅ 다른 소득이 있을 때 유용: 경제활동이 지속되거나 퇴직연금, 개인연금이 있는 경우 연기를 통해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연기 수령의 단점
❌ 연기한 동안 연금을 받을 수 없음: 연금 없이 생활해야 하는 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 수령 기간이 짧아질 가능성: 기대수명이 짧다면 연기하는 것이 손해일 수도 있습니다.
❌ 소득이 줄어들 경우 불리: 건강 문제 등으로 인해 추가 소득이 어려워지면 연기한 것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실제 사례: 국민연금 연기 수령 시 이득
- B씨 (60세, 연금 수령 예정)
- 예상 국민연금 수령액(60세 기준): 100만 원/월
- 연기 기간: 5년 (65세부터 수령)
연기 수령 시
- 매년 연금액 7.2% 증가
- 5년 후 예상 연금액 → 136만 원/월 (36% 증가)
- 5년 동안 미수령 연금 총액: 6,000만 원 (100만 원 × 12개월 × 5년)
- 추가로 증가한 연금 차익: 36만 원/월
- 수령 후 14년(79세 이상)부터 연기 수령이 더 유리
✅ 결론:
- B씨가 79세 이상 살면 연기 수령이 더 유리
- 하지만 78세 이전 사망 시 연기한 것이 손해
3. 어떤 선택이 유리할까?
🔹 연금 추가 납부가 유리한 경우
- 납부 예외 기간이 있어 연금 수령액이 적은 경우
- 국민연금 최소 가입 기간(10년)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 연금 수령액을 늘리고 싶지만 조기 은퇴 예정이라 연기 수령이 어려운 경우
- 한꺼번에 추가 납부할 경제적 여력이 있는 경우
🔹 연기 수령이 유리한 경우
- 다른 소득원이 있어 연금을 늦게 받아도 생활이 가능한 경우
- 건강이 좋아 기대수명이 길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 연금 수령액을 극대화하고 싶은 경우
💡 추가 납부는 즉시 연금액 증가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연기 수령은 장기적으로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본인의 재정 상태와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게 맞는 선택은?
💬 국민연금은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수령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추가 납부와 연기 수령, 두 방법 모두 장단점이 뚜렷하므로 본인의 재정 여력, 건강 상태, 기대수명, 타 소득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장 나에게 유리한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의계산이나 국민연금공단 상담 서비스를 통해 꼭 한 번 본인에게 맞는 전략을 점검해 보세요.
※ 이 글은 국민연금공단 및 보건복지부 공개 자료(2025년 기준)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