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지원

기초생활수급자 예금 보유 한도와 소득 환산 기준 (2025년 최신)

by 알뜰지니 2025. 3. 2.

기초생활수급자는 일정 금액까지 예금을 보유할 수 있지만, 기준을 초과하면 소득인정액에 반영되어 수급 자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초생활수급자의 금융재산(예금, 적금 등) 보유 한도와 소득 환산율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1. 기초생활수급자의 예금 보유 한도

일반적으로 500만 원 이하의 예금은 생활준비금으로 인정되어 소득산정에서 제외됩니다. 그러나 이를 초과하는 금액은 소득으로 간주되어 수급 자격 심사에 반영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예금 보유 한도와 소득 환산률, 수급자격 영향은?

✅ 2025년 지역별 기본재산 공제 한도

기본재산은 주거용 재산, 전세보증금, 자동차 등을 포함하며, 지역에 따라 공제 한도가 다릅니다.

거주 지역 기본재산 공제 한도
서울 9,900만 원
경기 8,000만 원
광역시/세종/창원 7,700만 원
기타 지역 5,300만 원

 

기본재산 공제 한도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예금이 많아도 수급 자격 유지가 가능합니다.

 

📌 추가 공제: 금융재산(예금, 적금 등) 500만 원까지 생활준비금으로 공제됨.

2. 예금이 소득으로 간주되는 방식 (소득 환산율 적용)

500만 원 이상의 금융재산은 일정 비율로 소득환산이 적용됩니다.

✅ 2025년 금융재산 소득 환산율

금융재산 규모 적용 기준
500만 원까지 공제 – 소득 산정 안 함
500만 원 초과분 초과 금액에 대해 연 6.26% (월 0.5217%) 환산

 

즉, 예금이 500만 원을 초과하면 초과분에 대해서만 소득 환산율(월 0.5217%)이 적용됩니다.

3. 예금 보유 시 수급자격 영향 (예금 얼마까지 가능할까?)

✅ 예금 계산 예시

예시: 서울 거주자 A 씨

  • 통장에 1,500만 원 예금 보유
  • 500만 원 생활준비금 공제 → 남은 1,000만 원에 대해 환산 적용
  • 1,000만 원 × 0.5217% = 약 52,170원이 소득으로 간주됨

즉, A 씨는 실제 소득이 없어도 매월 5.2만 원의 소득이 있는 것으로 계산됩니다.

4. 예외적으로 인정되는 금융재산 유형

다음 유형의 금융재산은 일부 또는 전체가 공제될 수 있습니다.

✅ 예외적으로 인정되는 금융재산

기초생활수급자 예금 보유 한도와 소득 환산률, 수급자격 영향은?기초생활수급자 예금 보유 한도와 소득 환산률, 수급자격 영향은?

  1. 생활준비금: 500만 원까지 공제
  2. 자산형성지원통장(희망키움통장, 내일키움통장 등): 저축 기간 동안 재산 불인정
  3. 주거용 재산: 전세보증금은 완화된 기준 적용
  4. 근로소득 공제: 예금 증가분 중 30% 공제 가능
  5. 장기 저축성 예금: 3년 이상 유지 시 최대 1,500만 원까지 공제

📌 이러한 예외 항목을 활용하면 예금을 유지하면서도 수급자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5.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금융재산 정책 변화

2025년에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 2025년 주요 변경 사항

  1. 소득환산율 유지: 금융재산 환산율은 연 6.26% (월 0.5217%)로 유지됨.
  2.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부양의무자의 재산 기준이 더욱 완화됨.
  3. 근로소득 공제 확대: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추가 근로소득 공제 적용.
  4. 주거용 재산 기준 상향: 거주 목적의 전세보증금 공제액 증가.

이러한 변화로 인해 수급 대상이 확대되었으며, 예금을 일정 부분 보유하면서도 수급자격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늘어났습니다.

🔹 기초생활수급자는 얼마까지 예금을 가질 수 있을까?

✅ 핵심 요약

500만 원까지는 생활준비금으로 공제됨.
초과분은 연 6.26% (월 0.5217%) 소득 환산율 적용.
기본재산 공제 한도(지역별 상이) 내에서는 예금이 많아도 수급 가능.
자산형성지원통장, 근로소득 공제 등 예외 항목 활용 가능.
2025년에는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근로소득 공제 확대 등의 정책 변화가 있음.

 

📌 예금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기초생활수급 자격에서 제외되는 건 아닙니다.
핵심은 소득인정액 기준이기 때문에, 공제 항목과 환산율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복지로 사이트나 주민센터에서 꼭 한번 확인해보세요.

 

 

📕 [관련글 보기]

 

※ 본 글은 복지로 및 보건복지부 2025년 기준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