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 예상 금액이 궁금하다면 실업급여 계산기를 활용해 보세요. 현재 고용24, 잡코리아, 노동OK 등에서 실업급여 모의계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자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1. 실업급여 계산기의 필요성
실업급여는 퇴직 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는 고용보험 급여입니다. 지급액과 지급 기간은 근속 기간, 연령, 월급 수준에 따라 달라지므로, 실업급여 계산기를 이용하면 예상 수급액을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업 기간 동안의 재정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법
✅ 고용24 실업급여 계산기
- 사이트 접속: 고용24 홈페이지
- 사용 방법:
- 고용24 사이트 접속
- "이용안내" > "정책/제도" > "지원금 모의계산" 선택
- "실업급여 계산하기" 선택
- 근로 형태(상용근로자, 일용근로자) 및 모의계산 유형 선택
- 연령, 장애 여부, 근로 기간, 월평균 임금 입력 후 "계산" 클릭
✅ 잡코리아 실업급여 계산기
- 사이트 접속: 잡코리아 실업급여 계산기
- 사용 방법:
- 잡코리아 실업급여 계산기 사이트 접속
- 생년월일 및 장애 여부 입력
- 최종 근무 기간과 퇴사 전 3개월간의 월급(세전) 입력
- "계산하기" 버튼 클릭 후 예상 실업급여 확인
✅ 노동OK 실업급여 계산기
- 사이트 접속: 노동OK 실업급여 계산기
- 사용 방법:
- 노동OK 실업급여 계산기 사이트 접속
- 재직일수, 연령 선택 후 확인 버튼 클릭
- 퇴직 전 3개월간의 총 임금 입력
- "실업급여액 계산" 버튼 클릭 후 예상 실업급여 확인
3. 실업급여 계산 시 유의사항
📌 예상 금액과 실제 지급액 차이 가능
- 실업급여 계산기는 대략적인 금액을 제공하며, 실제 지급액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퇴사 사유, 추가 가산 요소(장애 여부, 연령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실업급여 수급 조건 확인 필수
- 이직 사유: 비자발적 퇴사(권고사직, 계약만료 등)여야 합니다.
- 고용보험 가입 기간: 최소 180일 이상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 재취업 활동: 실업급여 수령 중 정기적으로 구직활동을 해야 합니다.
📌 공식 기관에서 최종 확인 필요
- 계산기 결과는 참고용이며, 실제 지급 여부는 고용센터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 고용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상담 서비스 활용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마무리
현재 고용24, 잡코리아, 노동OK 등에서 실업급여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인의 근속 기간과 임금을 입력해 예상 지급액을 미리 확인하고, 실업 기간 동안의 재정 계획을 세워보세요.
정확한 수급액은 고용센터나 고용24를 통해 공식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니, 계산 후 실제 상담을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 [관련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