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금∙금융

2025년 ISA 계좌 vs 일반 주식 계좌, 세금 차이 쉽게 정리!

by 알뜰지니 2025. 4. 4.

재테크에 관심은 있지만 세금 문제 때문에 머리가 복잡하시죠?
특히 2025년부터 바뀌는 ISA 계좌 제도는 절세에 도움이 되지만, 일반 주식 계좌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헷갈리는 분이 많습니다.

👉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ISA 계좌와 일반 주식 계좌의 세금 차이를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 ISA 계좌와 일반 주식 계좌, 뭐가 다른가요?

✅ ISA 계좌란?

ISA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 불리며,
예금·펀드·ETF·해외주식 등을 한 계좌에서 관리할 수 있는 절세형 계좌입니다.

 

구분 내용
연간 납입한도 4,000만 원
총 납입한도 기본 1억 원 (연금전환형 포함 시 최대 2억 원까지 가능)
비과세 한도 일반형: 500만 원, 서민형: 1,000만 원
초과 수익 세금 9.9% 분리과세
유지 조건 3년 이상 유지해야 혜택 적용

 

“총 납입한도는 기본적으로 1억 원 유지되며, 연금계좌 전환 시 일부 조건 하에 최대 2억 원까지 가능

 

 

💡 국내 개별주식은 ISA로 직접 투자할 수 없지만,
국내·해외 주식형 ETF에는 투자할 수 있어요.

ISA 계좌


✅ 일반 주식 계좌란?

일반 주식 계좌는 우리가 평소 사용하는
주식, ETF, 펀드 등을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계좌입니다.

하지만 ISA와 달리 수익이 나면 세금이 바로 발생하고,
배당소득이 많으면 종합소득세까지 붙을 수 있어요.

  • 국내 주식 양도차익: 비과세
  • ETF·펀드 수익: 15.4% 세금
  • 해외 주식 수익: 250만 원 공제 후 22% 양도세
  • 배당소득이 많으면 종합소득세 추가 부과

일반 주식 계좌


📊 ISA vs 일반 주식 계좌 세금 비교표

항목 ISA 계좌 (일반형 기준) 일반 주식 계좌
국내 주식 양도차익 비과세 (공통) 비과세
국내 ETF·펀드 수익 500만 원까지 비과세
초과분 9.9%
15.4% 배당소득세
해외 ETF·주식 수익 500만 원까지 비과세
초과분 9.9%
250만 원 공제 후 22% 양도소득세
배당소득 비과세 한도 내 면세
초과 시 9.9%
15.4% + 종합과세 가능
종합과세 포함 여부 제외 (분리과세) 포함 (2천만 원 초과 시)
의무 유지 기간 3년 이상 유지 없음

 

요약:
ETF나 해외 투자 중심이라면 ISA가 세금 면에서 확실히 유리합니다.


💰 예시로 보는 절세 효과

📌 투자 조건

  • 투자금: 1,000만 원
  • 수익: 800만 원
  • 투자상품: 국내 ETF
  • 계좌 유형: 일반형 ISA vs 일반 주식 계좌
항목 ISA 계좌 일반 주식 계좌
과세 대상 수익 300만 원 800만 원
세금 9.9% = 26.7만 원 15.4% = 123.2만 원
절세 차이 약 96.5만 원 차이  

 

👉 같은 수익이라도, ISA 계좌를 활용하면 세금이 1/4 수준!


🧭 어떤 계좌를 써야 할까?

✔ ISA 계좌가 유리한 경우

  • ETF, 펀드, 해외 주식처럼 간접 투자 중심
  • 3년 이상 장기 투자할 계획이 있는 분
  • 종합소득세가 걱정되는 고소득자
  • 연소득 5천만 원 이하인 경우 서민형 ISA 가입 가능

✅ 서민형은 비과세 한도가 2배(1,000만 원)로 더 높습니다!


✔ 일반 주식 계좌가 유리한 경우

  • 국내 개별주 단타 매매 중심
  • 자금 유동성이 중요한 단기 투자자
  • ISA 유지 조건(3년)을 맞추기 어려운 경우

💡 매매가 잦고 수익 규모가 작다면 일반 계좌가 더 유연합니다.


❓ 초보자가 자주 묻는 질문 (FAQ)

Q1. ISA 계좌로 삼성전자 주식을 살 수 있나요?

직접 살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 관련 ETF(예: KODEX 삼성그룹 ETF)는 ISA로 투자할 수 있어요.

Q2. ISA로 해외 주식도 투자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ISA 계좌 안에서 해외 ETF나 해외 주식형 펀드를 통해 투자할 수 있으며,
수익 500만 원(서민형은 1,0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

Q3. 일반 계좌로 해외 ETF 수익이 나면 세금은?

해외 ETF 수익은 연 250만 원 공제 후 22% 세금이 부과됩니다.
연말에 본인이 직접 신고 및 납부해야 하며, 누락 시 가산세도 발생할 수 있어요.


✅ 결론: ISA 계좌, 절세용으로 괜찮을까?

ISA 계좌는 ETF, 펀드, 해외 자산 중심의 투자자라면 꼭 활용해야 할 절세 도구입니다.
2025년부터는 총 납입한도와 비과세 한도가 모두 확대되며,
연금전환형은 최대 2억 원까지 운용 가능해졌어요.

 

👉 단기 매매 위주의 투자자라면 일반 계좌를,
👉 장기 투자 및 절세가 목표라면 ISA 계좌를 선택하거나
👉 두 계좌를 병행 활용하는 전략도 매우 효과적입니다.

 

 

📕 [관련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