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의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기초연금. 하지만 "재산이 많으면 받을 수 없다"는 말이 사실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초연금 수급 자격과 재산 기준을 정확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기초연금이란?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매월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복지 제도입니다.
- 2025년 지원 금액: 월 최대 34만 2,510원
- 지급 대상: 소득 하위 70% 이하 노인
- 운영 기관: 국민연금공단
💡 국민연금을 받든 안 받든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으며, 국민연금 수급자라도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지 않다면 감액 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 2. 기초연금 수급 대상: 소득 기준
기초연금을 받으려면 만 65세 이상이어야 하며, 소득 하위 70%에 해당해야 합니다.
🔷 2025년 소득인정액 기준
가구 유형 | 소득인정액 기준 (월) |
---|---|
단독가구 | 228만 원 이하 |
부부가구 | 364.8만 원 이하 |
※ 출처: 국민연금공단, 2025년 기준
📌 소득인정액이란?
- 월 소득 +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
- 부동산·예금 등도 평가 대상
💡 즉, 단순히 월 소득이 기준 이하라고 해서 무조건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재산까지 고려한 소득인정액이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 3. 기초연금 수급 대상: 재산 기준
단순히 재산이 많다고 탈락하는 것이 아닙니다.
정부는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해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기초연금을 지급합니다.
🔷 재산 소득 환산 공제 기준
거주 지역 | 재산 공제액 |
---|---|
대도시 | 1억 3,500만 원 |
중소도시 | 8,500만 원 |
농어촌 | 7,250만 원 |
※ 출처: 복지로, 2025년 기초연금 선정기준
✔ 공제 후 남은 금액을 연 4% 환산하여 소득인정액에 포함
💡 즉, 부동산이 많아도 공제 후 기준 내라면 충분히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4. 소득인정액 계산법
🔹 예제: 단독가구 (서울 거주, 연금 60만 원 수령, 예금 3,000만 원, 부동산 2억 원)
1️⃣ 부동산 계산
- 공제 후 잔액: 2억 - 1억 3,500만 원 = 6,500만 원
- 소득 환산: 6,500만 원 × 4% ÷ 12개월 = 21.7만 원
2️⃣ 예금 계산
- 예금 소득 환산: 3,000만 원 × 4% ÷ 12개월 = 10만 원
3️⃣ 소득합산
- 연금 60만 원 + 부동산 21.7만 원 + 예금 10만 원 = 91.7만 원
📌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기준 228만 원 이하 → 수급 가능!
※ 출처: 국민연금공단 연금모의계산 기준(2025)
💡 이처럼 재산이 있더라도 소득환산액이 기준을 초과하지 않으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5. 기초연금 지급 금액과 신청 방법
📌 2025년 지급 금액
- 소득 하위 40% → 월 최대 34만 2,510원
- 소득 하위 40~70% → 일부 감액 가능
- 부부가구 → 최대 51만 7,000원 지급
📌 신청 방법
- 방문 신청: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 전화 상담: 국민연금공단 1355
✅ 6. 기초연금 지급 중지될 수 있는 경우
❌ 다음과 같은 경우 기초연금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소득인정액이 기준 초과
- 해외 이주 또는 국적 상실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전환
- 사망
📌 단, 재산이 증가해도 기준 이내라면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
✅ 7. 기초연금 신청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Q&A
Q1. 기초연금 받으면 다른 복지 혜택에 영향이 있나요?
👉 대부분의 복지 혜택에 영향이 없지만, 일부 생계급여 수급자는 조정될 수 있습니다.
Q2. 배우자가 소득이 많으면 기초연금 받을 수 없나요?
👉 부부가구 기준이 적용되지만, 배우자가 소득이 많아도 신청 가능성이 있습니다.
Q3. 국민연금을 받으면 기초연금이 줄어드나요?
👉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을 경우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
Q4. 부채가 많으면 기초연금 받을 수 있나요?
👉 부채는 공제 대상이므로, 순 재산이 낮아지면 기초연금 수급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 기초연금, 놓치지 마세요
기초연금은 단순한 복지 지원을 넘어, 노후를 든든하게 만들어주는 소중한 제도예요.
"나는 재산이 좀 있어서 안 될 것 같은데…" 하셨던 분들도 실제로 계산해보면 수급 대상이 되는 경우가 적지 않더라고요.
조금만 꼼꼼히 따져보면, 매달 수십만 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눈앞에 있을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가까운 주민센터나 국민연금공단(☎ 1355) 에서 친절하게 상담받을 수 있어요.
놓치기엔 아까운 지원제도, 꼭 확인해보세요
📕 관련 글: 2025년 기초연금 감액 기준: 국민연금 받으면 얼마나 줄어들까?
※ 본 글은 국민연금공단 및 복지로(2025년 기준)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