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과연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 받는다면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기초연금은 노후 생활의 중요한 기반이 되는 제도지만, 실제로 수급 여부와 예상 금액을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수급 조건과 금액, 그리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모의계산 방법까지 자세히 소개합니다.
📌 2025년 기초연금,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2025년부터 기초연금 단독 수급자는 월 최대 34만 2,510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2024년보다 약 7,710원이 인상된 금액입니다.
하지만 부부가 함께 수령할 경우엔 감액 기준이 적용돼 수령액이 줄어듭니다.
구분 | 1인 수령액 | 부부 수령액 |
---|---|---|
최대 수령 가능액 | 342,510원 | 약 548,000원 |
감액률 | 해당 없음 | 약 20% 감액 |
✅ 수급 조건과 유의사항
기초연금은 나이만 넘는다고 무조건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아닙니다. 소득인정액과 재산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단독가구와 부부가구의 기준이 다릅니다.
항목 | 단독가구 기준 | 부부가구 기준 |
---|---|---|
연령 | 만 65세 이상 | 만 65세 이상 |
소득인정액 기준 | 월 228만 원 이하 | 월 364만8천 원 이하 |
재산 기준 | 공시지가 기준 약 2억 원 이하 | 공시지가 기준 약 3억 원 이하 |
📌 소득인정액이란?
근로·사업·연금 소득뿐 아니라 부동산, 예금, 적금 등 모든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이 기준을 초과하면 기초연금이 일부 감액되거나 탈락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 수령액이 높을수록 기초연금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 2025년 기준 국민연금을 월 60만 원 이상 수령하는 경우,
기초연금이 일부 또는 전액 감액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실제 사례로 알아보는 기초연금 수령액
사례 | 국민연금 | 기초연금 예상 수령액 | 비고 |
---|---|---|---|
A씨 부부 | 각각 10만 원 | 약 54만8천 원 | 수급 기준 충족 |
B씨 부부 | 각각 60만 원 | 약 30만 원 | 일부 감액 |
C씨 부부 | 각각 80만 원 이상 | 0원 | 수급 탈락 가능성 |
🔍 기초연금 모의계산 방법
정확한 수급 가능성과 예상 수령액은 모의계산 서비스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기
- 국민연금공단 모의계산 바로 가기
- 로그인 (네이버, 카카오톡, PASS 또는 공동인증서)
- 가구 유형, 소득, 재산 입력 후 “결과 조회” 클릭
- 예상 수령액 확인
2️⃣ 모바일 앱으로 간편 확인하기
👉 ‘내 곁에 국민연금’ 앱 이용
- 앱 실행 → 로그인
- ‘기초연금 모의계산’ 메뉴에서 정보 입력 후 결과 확인
3️⃣ 주민센터 방문 상담도 가능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분은 가까운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방문해서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전화 상담:
- 국민연금공단 ☎ 1355
- 보건복지 상담센터 ☎ 129
기초연금, 단순 지원 아닌 ‘노후 안정’을 위한 핵심 제도
기초연금은 단지 몇 만 원의 지원이 아닌, 노후 생활의 기본적인 기반이 되는 제도입니다.
특히 부부가 함께 수급할 경우 감액은 되지만, 여전히 안정적인 월 고정 수입이 될 수 있습니다.
모의계산 한 번으로 수급 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으니 반드시 활용해 보세요.
📝 요약정리
- 2025년 단독 수령자 최대액: 34만 2,510원
- 부부 수령 시 감액 적용: 약 20%
- 부부 합산 최대 수령액: 약 54만 8,000원
- 단독 vs 부부 기준 수급 조건 구분 필요
- 국민연금 중복 수급 시 감액 가능성 있음
- 모의계산으로 미리 수급 가능성과 금액 확인 가능
✅ 마무리 한 줄로 정리하면?
기초연금은 단순한 정부 지원이 아닌, 노후 생활의 든든한 재정 기반입니다.
모의계산을 통해 수급 가능성과 예상 금액을 꼭 확인해 보시고,
자격이 된다면 잊지 말고 신청하세요. 몇 분의 확인이 노후를 바꿉니다.
📌 모의계산 바로 가기 : 국민연금공단 모의계산 바로가기
📌 기초연금 상담 문의: 국민연금공단 상담센터(☎1355) / 보건복지 상담센터(☎129)
※ 이 글은 국민연금공단, 보건복지부, 복지로, 기초연금 공식자료(2025년 기준) 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